2월 27일, 박정민 서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팀은 2030 여성 중 결혼과 출산이 필수라고 생각하는 비율이 4%라는 충격적인 연구를 발표하였다. 연구에 따르면 만 20~34세 미혼 남녀 281명 중 결혼과 출산이 필수라고 답한 여성은 전체의 4%, 남성은 12.9%였다. 본인의 삶의 질이 높다고 응답한 사람일수록 결혼과 출산에 대한 인식도 긍정적이었다. 또한, 사회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결혼과 출산을 긍정적으로 고려했다. 결론적으로 한국 사회가 살기 어려운 곳이라는 인식이 결혼을 기피에 큰 원인으로 작용한다. 현재 청년층이 접하는 매체가 결혼과 가정에 대한 왜곡된 정보를 전파한다. 다수의 청년들이 한국 사회는 미래가 없는 헬조선, 가정에서 여성이 무조건 피해를 본다는 과격한 페미니즘이 사회를 대변한다고 생각한다. 가정의 탄생을 독려하지 않는 이 상황을 바꾸기 위해서 국가와 사회가 먼저 청년에게 지지를 보내야 한다. 금전적 지원으로 저출산 해결 성과를 낸 사례가 있다. 폴란드 보수 여당인 법과정의당이 2015년 둘째 자녀부터 자녀 1인당 약 150달러의 양육비를 직접 지원한다는 공약을 내걸고 2016년 4월 1일부로 지원했다. 폴란드의 2012년 출산율이 1
지난 6일, 미국·캐나다 생태학 전공자로 구성된 '생태·진화생물학 언어 프로젝트(EEB Language Project)'팀은 과학계 내에 사용되는 '해로운 용어들'의 사용금지를 주장했다.‘해로운 용어’를 포용적인 용어로 대체하여 연구 공동체에서의 소외를 막자는 것이다. EEB Language Project팀이 말하는 ‘해로움’이란 성차별과 인종차별, 식민지배와 가부장적 규범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남성과 여성이란 용어가 생물학적 성에 기반한 이분법적 사고를 강요하기에 정자 생산자와 난자 생산자로 수정할 것을 제안했다. 프로젝트 팀의 홈페이지에는 총 24개의 제안이 게시되어 있다. 사회과학영역의 주류로 자리잡은 PC주의가 이젠 기초과학의 영역으로 까지 넘어왔다. 한 전공자는 '학자로서 포스트 모더니즘과 젠더 이데올로기를 인정하는 내용의 논문이 아니면 받아주는 저널이 없다.'며 사회과학 영역에 이미 만연한 PC주의의 실상을 말했다. 이제 좌파적 사고가 자연과학영역까지 들어오고 있다. 비상식적인 시도들이 어느새 상식으로 자리잡고 있는 시대에, 올바른 정체성과 다음세대를 위해 지속적으로 감시해야 한다. 데일리인사이트 기자 | 김현철
21일 서울고등법원은 동성 커플의 건강보험 피부양 자격에 대해 처음으로 동성결합의 권리를 인정했다. 1심 판결과 달리, 2심에서는 남녀 간의 사실혼과 동일한 정서적·경제적 생활공동체이라 보고, 평등 원칙에 따라 이들을 다르게 대우해선 안된다고 판단했다. 건강보험에서 규정하는 피부양자는 직장가입자에 의하여 주로 생계를 유지하는 자로서, 보수나 소득이 없는 사람을 말한다. 피부양자 대상에는 사실혼 배우자는 명시되어 있지 않고, 배우자 관계를 동성의 법적인 혼인 관계와 사실혼 관계를 인정한 사례 또한 없었다. 이러한 판결은 사실상 가족의 범위 안에 동성 사실혼을 인정하면서 동성 결혼 합법화에 여지를 제공한 셈이다. 헌법 36조 1항 혼인법 질서와, 혼인을 '1남 1녀 간의 정신적, 육체적 결합'이라고 규정한 대법원 전원합의체의 판결에 반하는 법원의 판단은 명백히 모순적이다. 2015년 미국 연방대법원에서 동성 결합이 합헌이라는 판결이 내려지고부터 동성 결혼이 법적인 지위를 갖게 되었다. 동성결합을 인정하게 되면 동성 배우자를 권장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기 때문에, 가족제도가 붕괴되지 않도록 적극적인 교육을 통해 다음 세대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데일리인사이트 기
박석순 교수의 저서, ‘기후종말론 – 인류사 최대 사기극을 폭로한다(Climate Apocalypse –The Greatest Scam in Human History)’의 첫 북콘서트가 바른청년연합센터에서 2월 11일에 개최되었다. 이 날 열린 북콘서트에는 교사, 학부모, 대학생 등이 참석하였다. 북콘서트에서 다룬 저서는 박석순 교수가 데이비드 크레이그의 ‘There Is No Climate Crisis’라는 저서를 번역하고 일부 내용을 추가한 책으로 기후변화 이슈에 숨겨진 이면을 폭로하는 내용이다. 북콘서트에서 박석순 교수가 보여준 기후위기에 대한 현실은 우리가 알고 있는 통념과는 완전히 반대였다. 빙하의 면적은 주기적으로 확장과 축소를 반복하였고, 북극곰 개체수는 점점 증가하고 있음을 데이터로 실증하였다. 또한 좌파의 주장과 달리 해수면 상승 역시 연간 0.7mm 미만일 가능성이 높고 산호초는 오히려 급증하고 있다고 한다. 점점 더워지고 있다는 주장도 20세기 이전의 온도 기록들을 그래프에서 잘라내어 그렇게 보이도록 한 것이다. 무엇보다 홍수와 가뭄 같은 이상기후는 실제로 발생 빈도가 늘어나지도 않았다. 다시 말해 기후위기는 가짜뉴스이자 사기라는 이야기이
바른말오른말 제공 |
바른말오른말 제공 |
바른말오른말 제공 |